[베이스볼인플레이]역대 타고투저, 이유는 각각이었다일간스포츠 2016년11월25일 2016년 KBO리그를 가장 잘 설명하는 단어는 '타고투저'다. 10개 구단의 경기당 평균 득점은 5.61점이다. 역대 최고였던 2014년(5.62점)에 이어 2위다. 역대 3위 시즌인 1999년의 5.38점과는 꽤 차이가 있다. 타고투저와 투고타저를 가르는 기준이 대략 경기당 4.5점이라는 점에서 역사적인 '타자들의 시대'다. 한국야구위원회는 올시즌을 앞두고 스트라이크존을 좁히는 등 타고 완화를 위한 시도를 했다. 시즌 초만 해도 노력은 효과가 있는 듯 보였다. 4월말까지 118경기 평균득점은 4.84점이었다. 2014년(5.25점)과 2015년(5.06점)에 비해 확실히 떨어졌다. 하지만 5월이 넘어가면서 야구장은 다시..
[베이스볼인플레이]'미친 선수'는 가을한정판 상품일까?일간스포츠 2016.11.01 ‘미친 선수’는 가을야구의 대표적 클리셰다. 스타플레이어가 아닌 선수가 3안타를 때려내거나, 결정적인 홈런 한 방을 날린다. 그리고 "역시 포스트시즌엔 '미친 선수'가 나와야 이긴다"는 말이 따라붙는다. 이 '미친 선수'의 정체는 과연 뭘까. 가을이란 계절의 특이종일까, 아니면 다른 무엇일까. 2015년 한국시리즈(KS)는 확실히 '미친 선수'의 무대였다. 두산 정수빈은 KS 5경기 동안 17타석(14타수)에서 타율 0.571 OPS(출루율+장타율) 1.647을 기록하며 두산의 우승을 이끌었다. 시리즈 MVP도 그의 차지였다. 정규시즌 정수빈의 OPS는 0.752였다. 플레이오프(PO)는 약간 달랐다. 시리즈 최고 타자는..
[비주얼캐스트] '에이스 저격수' 박석민이 이끈 승리네이버 2016.10.26 한국시리즈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플레이오프에서 NC다이노스가 이겼다. 이 과정 여러군데에 결정적 승부처가 있었다. 1차전을 허망한 역전패로 내준 엘지트윈스는 2차전 반격의 카드로 선발투수 허프를 내세웠다. 정규시즌 후반에도 그랬지만 포스트시즌 들어 허프는 정말 압도적이었다. 1차전 불의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시리즈의 흐름이 쉽게 기울지 않았던 것은 그의 존재 때문이었다. 허프의 견고한 피칭은 예상대로였다. 그걸 무너뜨린 것이 박석민의 한방이었다. 큰 의미없어 보였던 테임즈의 볼넷 출루 이후 불리한 볼카운트에 먼저 몰렸음에도 6구째 몸쪽 공을 그림처럼 걷어올려 담장 밖으로 날려버렸다. 4차전 자체가 다시 승부처였다. 경기 내용이야..
[베이스볼인플레이]포스트시즌에서 희생번트를 대야 할까?일간스포츠 입력 2016.10.24 2016년 KBO 리그의 대세는 빅볼이다. 올해 경기당 희생번트 숫자는 홈·원정팀 합쳐서 0.9개다. 경기당 1개 미만 수치는 1982년 한국 프로야구가 출범한 이후 처음이다. 그런데 포스트시즌에는 양상이 좀 다르다. 와일드카드(WC) 결정전 2경기, 준플레이오프(PO) 4경기에서 10개가 나왔다. 그리고 PO에선 1·2차전까지 희생번트 5개가 기록됐다. 총 8경기에서 경기당 1.9개다. 무사에 주자가 출루하면 주저없이 번트사인이 나온다. '경기 중요도'가 높으니 당연해 보이기도 하지만 잘 생각해 보면 모순이다. 정규 시즌이든 포스트시즌이든 승리는 더 많은 득점이거나 더 적은 실점의 결과다. 번트보다 강공이 더 많은..
[베이스볼인플레이] “왜 KBO리그 구단은 데이터 활용에 소극적입니까?”일간스포츠 2016.09.29 미국은 '야구통계'의 천국이다. 야구 팬의 상상을 뛰어넘는 세밀하고 방대한 데이터가 공개돼 있다. 타율, 홈런, 타점 등 고전적인 기록은 논할 바도 아니다. 야수의 수비범위나 송구능력, 타구방향 등은 이제 기본이 됐다. 메이저리그 공식사이트(mlb.com)가 2007년 '피치FX'를 도입한 이후 구종, 투구궤적, 스트라이크존 통과위치 등 정보도 손쉽게 접할 수 있다. 메이저리그는 2015년 스탯캐스트(STATCAST)를 공식 런칭했다. 이젠 타구속도와 각도, 수비수의 반응시간, 주자의 주루속도 등도 측정되고 대중에 공개된다. 야구의 많은 것이 '보이지 않는 그 무엇'이 아닌 객관적이고 명료한 숫자로 표현..
[베이스볼인플레이]SK의 저득점, 홈런에는 죄가 없다일간스포츠 2016-09-20 2016년 SK 와이번스는 홈런의 팀이다. 거의 시즌 내내 팀 홈런 순위 1위를 달렸다. 득점에서 홈런이 차지하는 비중도 크다. 41%다. 올해뿐 아니라 2010년 이후 모든 팀 중에서 1위다. 2010년 롯데가 40%로, 근소한 차이로 2위다. 결과는 좀 다르다. 2010년 제리 로이스터의 롯데는 ‘닥치고 공격' 또는 '노피어’ 야구의 아이콘이었고, 팀 득점 1위 팀이었다. 그런데 2016년 SK는 kt를 제외하면 팀 득점이 리그에서 최하위다. 흔히 거론되는 게 ‘공격의 연결’이다. 김용희 SK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상대는 득점 찬스를 연결하는 팀을 어려워한다. 주자가 득점권에 있으면 진루시켜 안타 없이도 득점을 만들 ..
[베이스볼인플레이] 임창용 사건, 야구장의 '합의된 위험'에 대하여일간스포츠 2016.08.31 KIA 마무리 투수 임창용은 8월 27일 광주 홈 경기 9회초 2사에서 두산 2루 주자 오재원의 머리 쪽으로 강한 견제구를 던졌다. 이 플레이는 두산의 항의와 임창용과 오재원에 대한 주심의 경고, 그리고 이틀 뒤 KBO의 임창용 3경기 출장정지 징계로 이어졌다. 이 사건에 대해 생각을 정리했다. 1. 임창용은 '미친짓'을 했다. 고의든, 실수든, 사고든 주자 머리로 강속구 견제구를 던진 건 여햐튼 '미친짓'이 맞다고 본다. 2. 하지만 '살인미수'니 '선수생명이 걸린 문제' 같은 수사에는 전적으로 동의하기 어렵다. 시속 140킬로미터짜리 야구공을 맞으면 물론 죽을 수도 있고, 크게 다칠 수도 있겠다. 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