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egobaseball
ANALYSIS

연결만 하고 득점하지 못한 변비야구 - 14시즌 기아타선분석

by 토아일당 2015. 3. 6.


2014년 KBO 9개팀의 타선 밸런스 분석 - 기아타이거스



세이버메트릭스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이용해서 야구의 거의 모든 것들이 명쾌하게 통계적으로 해명됙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순batting order]에 대한 것은 별로 그렇지 못합니다.   그저 몇가지 논점이 부각되고 토론되는 수준입니다.   예를들어 “강한 2번타자” “팀내 최고이 타자는 4번이 아니라 3번” “가장 약한 타자를 7번이 아니라 9번” “출루율이 높은 타자를 좀더 상위타선에” 같은 것들입니다.


KBO2014시즌의 타순별 통계를 중 [타순별 기대득점 대비 실제득점]이라는 모델로 각 팀의 타선 밸런스에 대해 분석하려 합니다.  타순별 기대득점이란, 그 타순에서 타자가 맞이한 기대득점RunExpectancy의 수준 즉 [찬스의 크기]를 뜻하고, 실제득점은 그 타순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득점을 말합니다.  ("기대득점"의 개념에 대한 좀더 상세한 설명이 필요할 경우 참조 - 기대득점과 득점가치  http://baseball-in-play.com/70 )




"끊임없이 연결했지만 아무도 득점을 만들지 못했다"



2014 기아 팀득점 8위

BA 0.288(5위) / OBP 0.355(8위) / SLG 0.437(4위) 121홈런(4위) 121도루(4위)


차트에서 푸른색 라인그래프는  기대득점을 표시하며 아래쪽 붉은색 바 그래프는 실제 이루어진 득점을 표시합니다.  선Line은 기회의 크기바Bar는 결과의 크기인 셈입니다.  이 그래프를 보면 각 팀의 타선이 어떤 흐름(sequence)을 가지고 있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회색gray 선과 회색gray 바]는 리그평균 수준입니다.  



기아타이거즈의 2014시즌 타선에서 기대득점 즉 찬스의 흐름은 일부러 그린 것처럼 유려했습니다.   일단 1번부터 9번까지 급격하게 기대득점이 하락하는 슬롯은 없어보입니다.  테이블세터는 좋은 기울기로 높은 기대득점수준을 중심타선에게 연결시켜주고 그것이 하위타선으로 내려오며 완만하게 하강합니다.  그런데 왜 득점력 8위였던걸까요?  그러고보면 출루율은 제외하고 타율, 장타율, 홈런, 도루까지 팀스탯이 꽤 좋은 편인데요. (OPS로 보니 결국 8위이긴 하네요) 


<> 1-2번

테이블세터 자리에 꽤 좋은 득점기회가 돌아가는데 이 타순의 득점력이 리그평균보다 낮습니다.  물론 기대득점수준은 계속 유지해주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결함이라 해야할지 아니면 그저 전략적 선택으로 봐야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결국 종합적인 효율성에 따라 다른것이겠죠.    

[1번] 김주찬 315타석  0.346 / 0.397 / 0.514 / 0.911 / 442타석 46타점

     이대형 260타석

[2번]  이대형 179타석  0.323 / 0.372 / 0.401 / 0.773 / 505타석 40타점

      김주찬 120타석  박기남 90타석

 

<> 3번

3번타자는 리그평균이상의 득점을 수확합니다. 3번과 6번 이 두자리만 리그평균 이상의 득점실현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조차 1번과 2번이 자기 차례의 득점가능성을 지불하는 대신 넘겨준 기회라고 보면 충분히 남는 장사인지 애매합니다. 득점실현이 잘 되긴 했지만 워낙 높은 기대득점을 받은 것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3번] 필  332타석  0.309 / 0.352 / 0.541 / 0.894 / 389타석 66타점

     이범호 121타석  0.269 / 0.360 / 0.497 / 0.857 / 406타석 82타점

      신종길 70타석

 

<> 4-5번

일단 첫번째 명백한 문제는 4번과 5번의 득점력입니다.  이들은 (나머지 타자들도 비슷하지만) 찬스를 이어주기만 하고 득점을 만들지를 못합니다.  4번과 5번 모두 리그평균이상의 기회를 받았는데 득점력은 그렇지 못합니다.  특히 4번타자의 해결능력이 좀 아쉽습니다.

[4번] 나지완 465타석  0.312 / 0.404 / 0.510 / 0.914 / 470타석 79타점

     이범호 60타석

[5번] 안치홍 231타석  0.339 / 0.390 / 0.544 / 0.934 / 479타석 88타점

      이범호 138타석 

       신종길 110타석  0.292 / 0.345 / 0.467 / 0.812 / 399타석 51타점


<> 6번

그나마 6번은 밥값을 하며 리그평균이상의 득점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그 기여가 해결한 타자 본인의 것인지 6번에게 높은 기대득점은 넘겨준 5번의 몫인지는 반반입니다.  

[6번] 안치홍 161타석 신종길 85타석 이범호 71타석


<> 7-9번

7번과 8번은 확연한 타선의 약점입니다.  하위타선이라 해도 앞에서 남겨진 찬스를 어느정도는 득점으로 만들거나 아니면 1번타자로 연결되는 상위타선에게 어느정도 기회를 만들어주거나 둘중 하나를 해줘야 할텐데 그렇지는 못했습니다.  게다가 너무 가파르게 기대득점수준이 하락하기 때문에 9번이 그것을 극적으로 반전시켰음에도 표가 잘 안납니다.  9번에서 끝나는 그래프의 형식 상 눈에 덜 띠지는 9번타자가 만든 기대득점 상승분이 기아의 1번타자가 리그평균보다 휠씬 높은 수준의 기대득점에서 공격을 시작할 수 있는 기초가 되고 있습니다.  

[7번] 김다원 97타석  0.270 / 0.329 / 0.429 / 0.757 / 210타석 17타점

     김민우 70타석 신종길 53타석 안치홍 42타석

[8번] 차일목 201타석  0.189 / 0.286 / 0.254 / 0.540 / 224타석 18타점

[9번] 강한울 193타석  0.264 / 0.294 / 0.327 / 0.621 / 224타석 14타점

     김민우 87타석  0.251 / 0.387 / 0.365 / 0.753 / 210타석 15타점


괜찮은 흐름과 나쁜 득점력의 모순


전체적으로 밸런스와 흐름에 이상한 점은 별로 없습니다.  다만 상위타선의 경우 연결하는 능력에 비하면 득점을 실제로 실현하는 능력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특히 1번부터 6번까지는 평균이상의 득점기회를 받고 있는데도 득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하위타선으로 넘어가버립니다.  게다가 기아의 하위타선은 기회를 만드는 능력과 득점을 실현시키는 능력 모두 다른 팀의 하위타선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졌습니다.  

중상위권 팀들의 경우 하위타선에서도 한 슬롯 이상은 기대득점수준을 반전시켜주거나 틈틈히 기회를 직접 득점으로 바꾸어 놓은 역할을 하는 순번이 있었고 그것이 팀의 득점력을 높여주었습니다. 상위타선은 상위타선답지 못했고 하위타선은 너무나 하위타선다웠던 시즌이랄까요?  어쨌든 앞에도 뒤에도 득점루트가 없었던 것이 문제였습니다.


어쨌든 하위타선에서 기대득점수준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 말고 딱히 밸런스나 연결상의 문제점을 찾아보기 어려웠던 타선입니다.  그런데 왜 득점이 안되었던걸까요?


주자만 있으면 지독하게 침묵했던 타자들


문제는 주자만 있으면 타자들이 타순을 가리지 않고 침묵했기 때문입니다.  기아의 14시즌 팀타율은 0.288입니다.  좋은 건 아니지만 그래도 아래 엘지, 한화 두팀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득점권 타율은 어처구니없게도 0.258입니다.  이렇게까지 차이가 나는 팀타율-팀득점권 타율을 보기도 쉽지 않을 것입니다.  팀타율 최하위인 엘지는 그래도 득타율이 0.290으로 리그 4위였습니다.  


선수 개인으로 보면 득점권 타율이라는 것이 결국 자신이 커리어 타율에 수렴하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큰 의미를 두기 어려운 종류의 스탯이지만 팀 득점권 타율은 좀 다른 면이 있습니다.  우선 내년에 평균회귀의 법칙에 따라 그것이 되돌아온다 해도 낮은 득타율로 인한 낮은 득점력 그리고 그것이 초래한 낮은 순위는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하나는 개인의 득타율과 달리 팀의 득타율은 타순의 조정에 따라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타율이 높은 타자 앞에 득점권 주자가 오게 되면 결국 팀 전체로보면 팀 득타율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다만 14시즌의 기아 경우 누구랄것 없이 다들 득타율이 낮았던 것이라서 딱히 수가 없었을 것 같긴 합니다.


전체적으로 그럭저럭 짜여지긴 했지만 동시에 3번타자를 제외하고 모든 타자들의 득점력이 쳐지는 타선이었습니다.  기회를 연결해줄 수 있는 타선은 어느정도의 퍼포먼스가 보장되면 굉장히 효과적인 공격을 할 수 있지만 그 임계치를 넘기지 못한 상태에서는 그저 “폭탄돌리기”를 하는 타선에 머물 수 밖에 없습니다.  밸런스와 구성이 아무리 좋아도 결국 타석에서 선수가 해결하지 못하면 득점은 없다는 것을 보여준 케이스이기도 합니다. 


마법 혹은 리더가 필요하다


그래서 어쩌면 한두명의 확실한 타자만 보강될 경우 제대로 힘을 받을 수 있었던 타선일 수도 있습니다.  하필 김기태감독의 부임이 겹치며 2013년 엘지트윈스와 오버랩되는 면도 있습니다.  


그해 엘지트윈스는 평소같지 않은 득점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진격의 33연전 그리고 그후 상위권 싸움을 하며 보여준 집중력과 폭발력은 확실히 인상적이었습니다.  그 중심에 미적지근했던 타선에 확실한 뇌관이 되어 폭발력을 부여해준 캡틴 이병규가 있었습니다.  14시즌 기아의 타선이야말로 이런 타자 한명의 역할이 절실했던게 아닌가 싶고 또 거꾸로 그런 타자 한명이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타선이지 않을까요?